Tag Cloud

Blogumulus by Roy Tanck and Amanda Fazani

 애플이 최근 발표한 아이패드에서도 어도비시스템즈 플래시 기술을 지원하는 것을 거부했다. 아이폰에 이어 아이패드 사용자들도 플래시 기반 콘텐츠를 이용할 수 없게 됐다.
 스티브 잡스 애플 최고경영자는 아이패드가 동영상 감상에 있어 넷북이나 스마트폰보다 향상된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그러면서도 웹에서 돌아가는 동영상의 70~75%에 탑재된 플래시 지원을 거절했다는 점에서 그 배경에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아이폰 출시 이후 플래시 지원을 놓고 애플과 어도비는 불편한 관계였다. 어도비는 아이폰에 플래시를 넣고 싶어했지만 애플은 문호를 열어주지 않았다. 한때 아이폰에 플래시가 들어갈 것이란 신호가 포착됐지만 루머에 그쳤다. 애플은 결국 아이패드에서도 플래시에 대한 잠금장치를 풀지 않았다.전문가들에 따르면 아이패드에서 플래시를 지원하지 않는 것은 애플에게는 마이너스가 될 수 있다는 평가. 아이패드는 웹브라우징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런만큼, 플래시를 배제한 것은 사용성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CNN, 훌루, 디즈니 등 다수 웹사이트는 지금 플래시 기반이다.어도비도 공격모드로 나섰다. 아이폰에서 외면받았을때만 해도 어도비는 애플과 협력을 기대한다는 뉘앙스을 풍겼으나 아이패드에서도 거부당하자 사용자들은 웹콘텐츠를 제대로 이용할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어도비의 애드리언 루드위그 플래시 플랫폼 매니저는 블로그를 통해 "애플이 아이패드에 플래시를 거부한 것은 아이튠스 서비스에서 사용자들이 콘텐츠를 이용하는 것을 통제하기 위한 것"이라고 지적했다고 뉴욕타임스는 전했다.


 어도비는 현재 50개 이상의 파트너들과 협력해 개발자, 콘텐츠 업체들이 자신들의 콘텐츠를 다양한 기기에 접목할 수 있는 오픈스크린 프로젝트를 진행중이다. 디바이스에 상관없이 콘텐츠와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겠다는게 골자. 이를 감안하면 아이폰과 아이패드에서 플래시가 돌아가지 않는 것은 어도비에겐 부담스러울 수 밖에 없다.


 애플은 아이폰에서 플래시를 지원하지 않는 것과 관련해 너무 무겁기 때문이라는 입장을 밝혀왔다. 아이패드에서 플래시를 거부한 것도 기술적인 이유와 무관치 않은 듯 하다. 애플 데스크톱과 노트북의 경우 현재 플래시를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플래시로 인해 애플리케이션간 충돌 현상이 벌어진다는 지적. 애플은 아이패드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벌어지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는 설명이다.플래시 지원에 따른 시스템 부하와  보안 문제도 거론됐다. 플래시 기반 콘텐츠가 배터리도 많이 잡아먹는다는 것도 문제로 꼽혔다.


 애플은 플래시 대신 차세대 웹표준으로 주목받고 있는 HTML5를 주목하는 모습이다. 애플외에 유튜브와 비메오닷컴도 현재 HTML5로의 전환을 추진중이다. 플리커닷컴도 플래시의 대안을 고민하고 있다. 별도 런타임 SW를 깔아야 하는 플래시와 달리 HTML5는 웹브라우저에서 바로 돌아간다. HTML5가 확산될 경우 아이폰과 아이패드 사용자들은 플래시가 없어도 웹기반 동영상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그러나 HTML5는 아직 초기 단계다. 게임 제작이나 고급 동영상 기능 지원은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그런만큼, 웹을 HTML5 포맷으로 전환하는 과정은 쉽지도, 빠르지도 않을 것이라고 뉴욕타임스는 전하고 있다. 아직은 플래시가 개발자들에게 멀티미디어 프로그래밍 언어라는 것이다.그럼에도 뉴욕타임스는 많은 동영상 사이트에서 플래시의 대안으로 HTML5를 실험하고 있다는 것을 이유로 들어 플래시 공백에 따른 영향을 길지 않을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1 장례식장 서비스 인증 도입 2009
2 전국 지자체간 교통카드 호환 사용을 위한 표준화 2009
3 취업지원자의 편의증진을 위한 표준 이력서 개발 2009
4 건축물 클리닝 서비스 인증 도입 2009
5 맑은 수도물 공급을 위한 수도꼭지, 금속관 등의 수도용 제품 안전성 강화 2009
6 모바일 정보기기(휴대폰, PMP등) 문자입력방식 표준화 2010
7 진공청소기 먼지봉투의 표준화 2010
8 가전제품 공용 리모콘 표준 개발 2010
9 차량 운행정보 기록을 위한 블랙박스 표준화 2010
10 결혼식장 서비스 인증 도입 2010
11 차량수리센터 서비스 인증 도입 2010
12 소비자의 선택을 돕기 위한 고추장 매운맛 등급 표준화 2010
13 조립식 온수온돌 판넬제품 평가방법 표준화 2010
14 RFID기반 공용자전거 통합관리(대여·반납)시스템 표준화 2010
15 가전제품(TV,PC 등)의 무선통신 시스템 표준화 2010
16 모바일 USIM기반의 금융거래 보안 표준화 2010
17 건축용 샌드위치패널 화재 안전성 기준 강화  2010
18 건축물 구조 안전성 확보를 위한 레미콘 품질기준 강화  2010
19 경운기 브레이크등(燈) 표준화 2010
20 녹색 생활체육공간을 위한 인조잔디 표준화 2010
21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 직류전원장치 표준화 2010
22 휴대폰용 배터리 표준화 2010
23 노트북 전원 어댑터 국제표준화 2011
24 김치냉장고 저장용기의 표준화 2011
25 엘리베이터 버튼위치 표준화 2011
26 공동주택 층간소음 완충재 성능 측정방법 표준화 2011
27 병원간 검사결과(X-ray,CT,초음파 등) 공동 활용을 위한 표준화 2011
28 "빨주노초파남보”알기 쉬운 색채표준 활용 확산 2011
29 의료 시험분석기관의 적합성평가체계 표준화 2011
30 고령자 및 장애인용 생활제품의 표준 개발 2011
31 사회적 배려계층의 안전과 편의를 위한 공공 그림표지 표준 확산 2011
32 차량내장재의 휘발성 유해물질 저감을 위한 표준화 2011
33 한방용 뜸 표준화 2011
34 요식업에서 사용하는 1인분 표준화 2011
35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표준화 2011
36 스마트그리드 기반 실시간 전기요금 관리체계 표준화 2011
37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성능 및 안전성 평가방법 표준화 2011
38 서비스용 로봇 성능기준 표준화 2011
39 공기청정기 필터의 표준화 2012
40 최신 한국인 인체정보 확산적용을 위한 제품표준 정비 2012
41 노인요양시설 서비스 표준화 및 인증 도입 2012
42 산후조리원 서비스 인증 도입 2012
43 홍수, 테러 등의 재난대응 시스템 표준화 2012
44 범죄예방을 위해 공원 등 도시설계 표준 개발 2012
45 휴대용 심혈관질환 자가 진단용 바이오센서 표준화 2012
46 방범자재 성능기준 표준화 2012
47 도로교통 시설의 안전ㆍ편의성 향상을 위한 표준화 2012
48 고령자 및 장애인의 기기 활용 편리성 향상 표준화 2012
49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HEV) 연비측정 방법 표준화 2012
50 세제 적정량 사용을 위한 표준 개발 2012

excerpted from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